본문 바로가기

독일에서 사업하기22

[독일 아마존 셀러] 제품군 하나를 없애야 할 것 같다 지난달에 아마존을 한 이래로 최대 매출을 만들었다. 그래서 드디어 이번달엔 수수료와 광고비를 빼고도 내 손에 돈이 좀 남나 싶었는데, 왠걸... 광고비가 어마무시하게 나왔다. 최대 매출을 만들었지만 최대 광고비가 나와서 최대 적자로 5월의 아마존이 끝났다. 그래서 잠시 사기저하로 블로그도 좀 뜸했다. 광고비가 왜 이렇게 많이 나왔을까? 1. 디스플레이 광고를 적용했고, 효과없이 광고비만 많이 나갔다. 보표님의 강의를 보고 디스플레이 광고를 시도 해 보았다. 디스플레이 광고는 클릭당 광고금액이 나가는 것이 아니고 제품 1000 노출당 비딩한 광고비가 나가는 것이기에 1000번 노출되는 동안 1개 클릭을 받던 100개 클릭을 받던 상관이 없다고 해서 진행해보았다만 크게 재미는 보지 못했다. 1000번 노출 .. 2024. 6. 6.
[독일 아마존 셀러] 새 제품군을 들일까 말까? 나는 현재 아마존에서 2가지 제품군을 팔고 있다. 이 두가지 제품군을 어느정도 판매궤도에 올려놓고 새 상품군을 추가하려고 했는데, 지금이 그 때인 것 같다. 두 제품군들에서 판매가 계속 형성되고 있고, 다음에 업데이트 해야할 것들은 외주를 주거나 minor 한 것들이라고 생각이 되었고, 매달 고정비용 (아마존 FBA fee 등)이 어차피 계속 나가니까 새 제품군을 들여서 아마존이란 세상에서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어망을 하나 더 설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행히 나는 알리바바나 도매꾹 등에서 완전히 새 상품을 sourcing해서 기존 판매자들과 경쟁할 필요는 없고, 나에게 제품을 공급해주는 전용 공장에서 다른 제품을 선정해서 유럽에 팔면 되기에 좀 편하다. "내가 유럽에 팔아보고 싶은 아이템이 있는데 .. 2024. 5. 3.
[독일 아마존 셀러] Kleinunternehmensregelung 2024 지난 글 (Kleingewerbe) 에 이어서 이번에는 Kleinunternehmensregelung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나 또한 처음에는 Kleingewerbe, kleinunternehmen, kleinunternehmensregelung 등의 용어를 많이 헷갈려하다가 어찌어찌 머릿속에서 정리는 되었는데, 이번 참에 확실하게 정리해야겠다! 1. Kleinunternehmensregelung 법 조항 § 19, 1 Umsatzsteuergesetz (UStG) 2. Kleinunternehmensregelung 혜택 구간매출액 (Umsatz)가 22.000유로를 넘으면 안된다.작년 매출액이 22.000유로를 넘었다면 올해는 Kleinunternehmensregelung 혜택을 받지 못한다.. 2024. 4. 30.
[독일 아마존 셀러] Kleingewerbe 2024 나는 아마존 셀러를 부업으로 현재 하고 있다. 그래서 제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사업자 형태인 Kleingewerbe 로 하고 있고, Kleinunternehmensregelung 혜택을 받고 있다.   2022년에 Kleingewerbe / Kleinunternehmensregelung에 대해 적은 적이 있는데 2024년 버젼으로 다시 업데이트 해본다.  내가 참조로 한 사이트들은 아래에 정리해 놓겠다.  Kleingewerbe 정의:gmbH, GbR, OG, KG 등과 같은 사업자의 법적 형태. 부업이나 매출이 적은 초기단계에 제일 적합한 사업자 형태이다. Kleingewerbe = Kleinunternehmer (x)둘다 한국말로 소규모 사업, 간이 사업 등으로 해석 될 수 있어 같은 말인 줄 알았.. 2024. 4. 27.
[독일 아마존 셀러] 아마존 FBA창고에 추가 제품 선적! 오늘 미루고 미루던 추가 재고를 아마존 창고로 보내었다. 이로써 사업을 시작하고 5번째로 추가 재고를 보내었다. 아마존 알고리즘상, sales history/ 추가재고 선적 history가 많을 수록 점수를 많이 받아서 노출에 유리하다고 한다. 5번동안 한 제품에 추가재고를 보냈다면, 어느정도 점수를 쌓았을 수도 있지만, 아쉽게도 같은 제품이지만 새로 구성을 하여서 거의 매번 신규 등록 (Listing)을 해서, 아직까지는 그렇게 크게 영향이 있을 것 같진 않다. 이래서 판매하고자 할 제품의 spec. 을 명확하게 하고 팔았어야 하는데, 일단 발부터 담그자는 마인드로 해서 계속 수정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 동안 해야 했던 수정 사항은 NO 브랜드 제품으로 팔다가 브랜드 등록을 해서, 브랜드명을 가진 .. 2024. 4. 20.
[독일 아마존 셀러] 아마존 셀러 현황 작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FBA를 시작하고 제품을 아마존 창고로 보내어서 판매를 시작했다. 21년도에 아마존 셀러 한다고 맘 먹었는데, 23년까지도 제대로 시작하지 못했었다. 모든것을 완벽하게 준비하고 시작하려면 평생 못할 것 같기에 일단 물건을 보내고 "일단" 시작했었고, 아직도 계속 수정 중이다. 계속해서 물건이 팔리긴하는데, 매일 5개씩은 팔려야 그나마 용돈벌이를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아직 그 정도도 달성하지 못하였다 (현재 판매금액이 약 200-300유로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럼 아마존 수수료 지불하고, 제품구매금액 지불하면 남는 것이 없다). 제품 상세페이지의 키워드도 작업해야하고, 아마존 창고에 재고도 더 쌓아놓아야하고, PPC광고도 좀 더 최적화해야 할 것 같다. 유투브에서 상세페이지의 키워.. 2024. 4. 19.